TCP/IP 4 계층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TCP/IP 프로토콜 통신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OSI 7 계층을 좀 더 단순화 시킨 계층이다.

  • 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인터넷, 전송,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러한 계층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따.

    • 각 계층별 처리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계층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 특정 계층에서 문제가 생기면, 해당 계층을 살펴보면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 다른 계층끼리는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캡슐화와 은닉이 가능하다.

img_2.png

1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Access Layer)

  • Node To Node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OSI 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을 이 계층이 담당한다.

  • 알맞은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MAC 주소를 핸들링 하는것 뿐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선로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 해준다.

2계층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OSI 7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 IP를 담당하는 계층으로, IP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원천지(origin)와 목적지(destination)에 관한 정보를 첨부한다.

  • IP는 복잡한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의 작은 조각들을 되도록 빨리 보내는 일을 한다.

  •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경로를 설정하여 어떻게든 빨리 보내도록 한다.

프로토콜
설명

IP

비연결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발신지와 목적지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

ICMP

IP제어와 메시지 기능을 담당

ARP

IP 주소를 이용해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브로드캐스트 요청, 유니캐스트 응답)

RARP

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브로드캐스트 요청, 유니캐스트 응답)

3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OSI 7 계층에서 전송 계층

  • TCP/UDP를 담당하는 계층

  •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 즉, 순서가 맞지 않거나 중간에 빠진 부분을 점검하여 다시 요청하는 일을 담당한다.

4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OSI 7 계층에서 5, 6, 7(세션, 표현, 응용)계층의 기능을 담당한다.

  • HTTP/FTP를 담당하는 계층이며, 서버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이 계층에서 동작한다.

  • 우리가 알고 있는 브라우저나 텔넷같은 서비스가 이 계층에 동작한다.

프로토콜
설명

DNS(Domain Name System)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비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네트워크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

TCP 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UDP 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Last updated